대구 군위군 삼국유사면 군위댐 수상태양광 개발사업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열린 주민설명회가 강한 반발로 무산됐는데, 개발사업자인 한국수자원공사가 갈등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위군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2시 한국수자원공사는 군위댐지사에서 ‘군위댐 수상태양광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주민 등 50여 명이 참석했으나 일부 주민의 거센 반발로 사실상 무산됐다. 특히 참석자 중 상당수가 수자원공사 ‘노인일자리 사업 근로자’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수자원공사 측은 “태양광 송전선로 하천점용 인허가 기관이 군위군에서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 변경됐다”며 “환경청이 주민 의견 청취를 요청해 마련된 자리로, 공식 설명회 성격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2주 전에 일정을 공지했지만 일부 이장들이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한다”며, “또한 참가자 중 일부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였던 것은 사실이나 의도적 동원은 과도한 해석”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군위군은 송전선로 설치를 불허하며 사업을 저지했으나, 인허가권이 환경청으로 넘어가 직접적인 조치는 어려운 상황이다.
군 관계자는 “군민들의 입장을 환경청에 성실히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민측은 “군위댐은 생명줄”이라며, “안전 검증도 부족한 시설을 억지로 밀어붙이면 10년, 20년 뒤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후손이 떠안게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태양광을 무조건 반대하는 게 아니다. 제대로 된 주민 의견 수렴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군위댐 수상태양광 사업은 댐 수면에 연간 3㎿ 규모의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것으로, 총사업비 73억여 원이 투입돼 2023년 3월 준공됐다. 그러나 재해 위험과 환경오염 우려로 인해 송전선로를 확보하지 못해 현재까지 가동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한편 삼국유사면 발전위원회와 이장회의 등은 지난달 20일 “군위댐은 3만 군민의 상수원”이라며 “고압 송전선로 설치는 수질과 주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내용의 반대 의견서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제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