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보균 전 행정안전부 차관이 14일 "익산을 전북 균형발전의 핵심축으로 하고 전주권·새만금권과 '선(先) 경제협력, 후(後) 행정통합'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공식 제안했다.
심보균 전 차관은 이날 오전 전북자치도 익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익산이 전주권과 새만금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이라며 이같이 제안했다.
심보균 전 행안부 차관은 "산업·물류·투자 유치 등 실질적인 경제협력사업을 우선 실행하고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행정통합 여부를 검토하는 '시민 참여형 메가시티 모델'이 바람직하다"며 "추진 과정에서는 공개포럼, 토론회, 공청회를 통한 시민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상공인·대학·연구기관·문화관광단체·물류업계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전략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핵심전략으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세제 혜택을 통한 외국인 투자 활성화 △국제학교 유치 및 글로벌 인재 양성 △바이오·푸드테크·AI스마트물류 등 특화산업 육성 △혁신도시 공공기관 유치와 지역 대학·기업 연계 인재 채용 △청년주거·창업복합단지 조성 등을 내놓아 관심을 끌었다.
심보균 전 차관은 또 "KTX·철도·도로·항만·공항을 연계한 전국 최고 수준의 교통·물류망 구축과 새만금과 직결되는 수출입 체계 강화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특별지방자치단체 제도를 활용한 광역협력체로 발전시키고 중앙정부·전북도·익산시 간 정책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심 전 차관은 "익산은 62.3Km의 전주역-새만금공항역 동서축과 81.0Km의 정읍역-논산역 남북축 철도계획노선에 호남선과 전라선·군산선이 교차하는 지점"이라며 "통팔달 교통망과 KTX, 철도물류 인프라를 기반으로 항만·공항·새만금과 직결되는 수출입 물류체계를 강화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기반 위에서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외국인 투자 활성화, 첨단산업 및 물류 일자리 창출, 지방세 확충, 글로벌 기술협력 강화 등 다각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심보균 전 행안부 차관은 "익산이 주도하는 메가시티는 산업·인재·교통·물류가 결합된 전북의 심장이자 세계로 연결되는 경제허브가 될 수 있다"며 "이는 어디까지나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만드는 공동의 비전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