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격차와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로 인한 부산지역 제조기업들의 인재 가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25일까지 관내 제조기업 200개사와 이공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제조기업의 연구개발 인력 미스매치 현황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지역기업의 53.5%는 현재 연구개발 인력 수급에 대해서 충분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최근 지역 제조업 경기가 좋지 않았던 것에 더해 지난 정부의 R&D 예산 삭감 여파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새 정부의 R&D 예산 확대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경우 연구개발 인력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개발 인력 채용의 애로사항은 우수 인력 확보의 어려움이 49.5%로 가장 많았다. 이는 기대 임금 차이와 수도권으로의 인력 유출 때문으로 풀이된다. 높은 인건비 부담과 조기 퇴사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지역기업의 현실 초임 수준과 이공계 대학생의 희망 초임을 비교한 결과 지역기업의 90%가 연구개발 인력 초임을 4000만 원 미만으로 지급하고 있었다. 반면 지역 이공계 대학생의 31%는 4000만 원 이상의 초임을 희망하고 있어 임금 수준에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러한 구인·구직 불균형의 해소를 위해 연구개발 우수인력 공급과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과제 확대 지원, 지역 우수인재 유출 방지책 강화 등 정책을 주문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의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특히 현실임금과 기대임금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인건비 지원과 함께 채용 연계형 산학협력 확대를 통해 우수인재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