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이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대출 만기 연장을 둘러싸고 '대주주이자 채권자'라는 이중적 위치에서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GGM의 3대 주주임에도 불구하고 채권단과 보조를 맞춰 부도 위기까지 방치했다는 지적이다.
20일 GGM 노사와 사업보고서, 광주은행 등에 따르면 GGM은 지난 6월 8개 채권은행에 대출금 1960억 원을 상환했다. 채권은행은 광주은행을 비롯해 산업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수협은행,산업은행, 산은캐피탈 등이다.
이들 은행은 오는 12월 만기를 앞두고 GGM의 노사갈등을 이유로 대출 연장을 거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GGM은 유일하게 연장을 승인한 신한은행으로부터 1960억 원을 새로 빌려 기존 대출을 상환했다. 만약 신한은행마저 연장을 거부했다면 GGM은 부도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채권단은 GGM 설립 당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2700억 원을 빌려주며 '노사 상생협정 준수'를 대출 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노사 갈등이 격화되며 순환파업등이 진행되자 협정 위반을 이유로 연장 불허를 시사했다. 이 과정에서 GGM의 3대 주주인 광주은행(지분 11.3%, 260억 출자)도 채권단의 입장을 따랐다.
이러한 움직임에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는 지난 1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은행 등이 GGM노조 파업을 사유로 대출금 조기 상환을 강요한 것은 명백한 노동기본권 침해이자 부당노동행위"라며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기도 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광주은행이 지역은행이자 대주주임에도 노조를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광주은행은 "GGM 대출 연장을 거부한 것이 아니며, GGM이 여러 은행으로 구성된 신디케이트론의 높은 금리와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신한은행의 단일 대출로 갈아탄 것(대환)"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GGM은 <프레시안>과 통화에서 "지난해 노조 파업 결의를 계기로 산업은행이 수차례 공문을 통해 노사 관계 동향 보고 등을 요구하는 분위기에서 올해 12월 대출 만기를 앞두고, 노조가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중재안을 거부하는 등 노사 관계 개선이 불투명해지자 대출 연장이 거부될 수 있다는 심각한 위기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이어 "대안으로 8개 은행으로 구성된 신디케이트론의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와 재무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대출 연장 리스크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채권 전체를 인수할 단일 은행을 물색하기 시작했다"면서 "기존 8개 채권 은행 전체를 대상으로 단독 대출 전환 가능 여부를 타진한 결과 신한은행만이 유일하게 의사를 밝혀 대출 상환을 진행하게 됐다"고 알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