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호남 4대 도시 중 '유일 인구증가' 익산시…그 비책은 '맞춤형 청년정책'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호남 4대 도시 중 '유일 인구증가' 익산시…그 비책은 '맞춤형 청년정책'

40대 격감은 출생아 감소로 이어져 별도 대책 마련 시급

주민등록상 인구로 볼 때 '호남 4대 도시'는 광주와 전주, 순천, 익산 등이다.

올 7월 말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의 인구는 139만8500명이고 전주는 62만9600명, 순천 27만5300명, 익산 26만7600명 등이다.

이들 4대 도시 중에서 최근 인구가 우상향의 증가세를 보이는 곳은 익산시가 유일하다.

▲익산시에만 있는 청년시청의 모습. 청년정책 지원을 원스톱으로 하고 있어 청년인구 유출 차단의 방파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프레시안

익산시는 인구 20만명 이상의 비수도권 기초단체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인구절벽을 극복하고 청년층 인구 이탈을 막아 사람이 늘어나는 '반전역사'를 써가고 있다.

21일 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익산시의 인구 순유입은 작년 4분기에 802명을 기록한 이후 올해 1분기와 2분기에도 각각 59명과 291명씩 늘어나는 등 완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호남 4대 도시 중 나머지 3개가 인구감소의 부진세를 면치 못하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는 모습이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작년 4분기 이후 매분기마다 3200명 이상 인구가 순유출됐으며 전주시 역시 지난 3분기 평균 2100여명의 순감소를 나타냈다.

순천시는 작년 4분기에 55명 순증에서 올해 1분기에 543명 순감소로 돌아서더니 올 2분기에도 247명 순유출되는 등 젊은층의 향(向)수도권 현상이 호남 3대 도시를 예외로 두지 않았다.

사실 익산시도 그동안 인구감소의 어려움이 많았다.

전입자 수에서 전출자 수를 뺀 '인구 순이동자 수'를 보면 지난 2023년 3분기에 644명이 순유출된 것을 비롯해 내리 다섯 분기 동안 '마이너스 행진'을 벗어나지 못했다.

작년 1분기에는 익산에서 순유출된 인구 규모만 948명에 육박하는 등 사태가 심각했다.

하지만 민간특례사업을 활용한 환경친화적 아파트 단지 조성 등 주거환경 개선의 훈풍에 이어 식품과 바이오산업 육성, 신혼부부와 MZ세대를 겨냥한 맞춤형 청년지원 정책 등이 효과를 발휘하며 젊은층 인구 유출을 차단하고 수도권과 충청권의 이른바 '수·충권 5060세대'를 빨아들이기 시작했다.

실제로 만 18세 이상 38세 이하의 '청년인구'를 보면 올 6월말 현재 6만1400여명을 유지해 전체 인구 대비 23.0%를 차지했다.

전북 전체 인구 중에서 청년의 비중이 22.0%인 점을 감안할 때 익산시의 청년층 비중이 1%포인트 높은 셈인데, 이는 그만큼 익산시가 전북 전체로 넓혀봐도 '더 젊다'는 뜻이다.

익산시의 청년인구는 파격적인 지원에 힘입어 올 4월에만 160여명이 늘었고 5월에는 30명 가까이 추가로 증가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최근 4개월 동안 정확히 60명의 청년이 늘었는데, 이는 단순 수치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비수도권에서, 그것도 인구 20만명을 넘어서는 비교적 규모가 있는 도시에서 청년인구가 증가하기란 장작 위에 누워서 쓸개를 맛보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청년층 유출 차단 정책의 효과는 올 7월 중 구체적인 통계로 확인됐다.

익산시의 7월은 대학 종강과 하반기 취업으로 청년층 유출이 산더미를 이루는 최악의 한 달이다. 지난 2022년부터 작년까지 3년 동안 7월 중에만 평균 364명의 인구가 격감한 것이 단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올 7월에는 청년인구 감소(-32명) 수치가 대폭 줄어들며 전체적인 인구를 늘리는 새로운 역사를 쓰기도 했다.

익산시는 이와 관련해 "올해 3월 이후 신규 공동주택 입주가 없었음에도 지난달에 인구순증을 기록했다"며 "청년정책이 실효를 거두며 젊은층 유출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하는 등 여러 물리적 여건을 뛰어넘은 정책적 성과"라고 평가했다.

다만 '맞춤형 청년정책'은 일종의 단기 처방전이다.

▲익산시가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를 찾아 인구관심지역 권리 확보를 건의하고 있다. ⓒ익산시

청년들이 주택을 구매할 경우 일정한 이자를 보전해주고 신혼부부에게 특별한 혜택을 준다고 해서 2030세대가 보따리를 싸서 익산에 들어올 일도 아니다.

이런 차원에서 MZ세대를 위한 일자리와 문화적 기반 확충이 향후 익산시 인구정책의 1순위 과제라는 지적이다.

인구의 허리 격인 40대를 위한 정책적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실제로 익산시의 연령대별 인구분포도를 보면 전형적인 '표주박형 구조'이다. 이는 한 지역의 인구를 떠받치는 허리에 해당하는 40대의 허리가 부실하다는 반증이다.

익산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은 "익산시 인구 중 40대가 많이 감소한 이유는 일자리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익산시의 사유별 인구탈출 현황에서도 '직업'이 1위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40대의 인구탈출은 필연적으로 0~9세의 인구 감소를 함께하는 등 가족 단위 동반 탈출과 출생아 수 감소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익산시의 40대 인구는 지난해 기준 시 3만5400명 수준으로 최근 5년 동안 평균 감소율 18.4%로 가장 높았다.

이러다 보니 40대의 자녀에 해당하는 0~9세 감소율도 34.4%로 치솟는 등 저출산 기조와 함께 40대 유출이 아이들이 없는 익산시로 치닫게 하고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