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 직원을 사칭해 위조된 공문서까지 보내 물품제작과 납품을 요구하는 사기행각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상인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광주시교육청은 최근 교육청 공인이 찍힌 위조공문서를 이용해 민간업체에 접근하는 사기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관할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22일 밝혔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사기 행각은 지난 7월 초부터 옥상 방수업체 등 영세업체를 대상으로 시작됐다. 시교육청 사칭 사기범들은 8월 들어 그 수법이 더 대담해지고 커튼·블라인드 업체를 집중적으로 노렸다.
실제로 지난 12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업체들로부터 "교육청 직원이 맞느냐", "공문을 받고 블라인드 제작 주문을 했다"는 등의 확인 전화가 7건이나 민원실로 빗발쳤다. 이 과정에서 업체 2곳은 이미 물품을 제작하는 등 실질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사기범은 특정업체에 전화를 걸어 자신을 교육청 직원이라고 소개한 뒤 "공보실에서 만든 공문을 전달했다"는 식으로 말하며 신뢰를 유도했다.

업체들이 받은 공문은 교육청 양식을 어설프게 표방했으나, 실제 공문서를 접하지 못한 업체 입장에서는 검증이 어려웠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공문에는 위조공문서 우측 상단에 표기된 슬로건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현재 사용하는 전자문서 서식이 아닌데다, 존재하지 않는 '자치행정국'이라는 부서명이 적혀 있었다. 현재의 도로명주소가 아닌 옛 지번주소로 되어 있었으며, 연락처는 부서번호가 아닌 개인 휴대전화 번호가 기재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시교육청은 즉시 산하 모든 기관과 학교에 '공무원 사칭 주의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 또한 조달청, 건설협회 등 유관기관에도 협조를 요청하고 시민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청 홈페이지에 경고 팝업창을 띄웠다.
이정선 교육감은 "조금이라도 수상한 연락을 받을 경우 경찰에 신고해 주시길 바란다"며 "시교육청 소속 공무원은 어떤 경우에도 개별업체에 직접 연락해 계약이나 납품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