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군은 영농 및 임업 부산물의 효율적인 처리와 바이오차 생산을 통한 자원화로 농업 및 산림 환경 개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화순군·관내 영농기관·기업과 공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영농 및 임업 부산물의 불법 소각으로 인한 환경 오염 및 산불을 예방하고, 바이오차(Biochar) 생산을 통한 자원순환을 촉진 등 농·임업인의 편의 제고와 소득 증진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영농 및 임업 부산물을 1일 40톤씩 처리해 총 10톤의 바이오차 생산시설을 2027년 초까지 화순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동안 관내 1542㏊의 밭과 하우스 농가에서 발생한 영농 부산물 처리에 비용 부담이 있었지만, 이번 협약으로 폐자원 수집에 드는 수거비를 농가에 되돌려 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국 최초로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영농 및 임업 부산물을 수거함에 따라 산불의 주요 원인이었던 영농 부산물 소각을 대폭 줄이고, 부산물 처리와 농가소득이라는 이중 효과가 기대된다.
각 기관은 영농 및 임업 부산물 수거 및 운반 체계 구축, 영농 및 임업 부산물 자원화 설비 구축·운영, 기술 교류 및 정보 공유, 인식 개선 및 홍보, 생산된 바이오차 비료 등의 유통 및 보급 지원, 탄소배출권 수익 창출 구조를 포함한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개발하고 전국 확대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바이오차는 유기성 물질인 바이오매스를 숯처럼 무산소 혹은 저산소 환경에서 태워 만든 소재를 말한다.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을 의미하는 '차콜(Charcoal)'의 합성어다.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바이오차를 지역에 따라 도포 또는 식혈 처리해 조림할 경우, 생육 성분이 20% 이상 증가했다.
바이오차를 활용해 피해 지역을 복구한다면 최대한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현재 이러한 시설은 6개 나라에서 20여 개의 플랜트가 가동되고 있다.
구복규 군수는 "이번 협약은 영농 부산물 문제 해결을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친환경 농업 실현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각 기관의 전문성과 역량을 결합하여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갈 것이며 환경 보호와 농업인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지속 가능 지역 발전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