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절을 맞아 ‘광복은 연합국의 선물’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뉴라이트 인사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둘러싸고 퇴진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20일부터 독립운동가 후손 10여명과 지역 시민단체 회원들은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겨레누리관 내 관장실을 점거하고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천막 설치를 막으며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독립기념관 측은 농성 인원은 물론 지역구 국회의원의 출입까지 제한해 ‘불통 대응’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22일에는 더불어민주당 천안 갑·을·병 지역위원회 위원들과 지역구 의원들이 농성장을 찾아 김 관장의 퇴진을 촉구했다.
문진석·이재관·이정문 국회의원은 “망언으로 독립기념관의 설립 취지를 훼손한 김 관장은 즉각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며 “퇴진 거부 시 법과 제도로 해임·파면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발의된 ‘독립기념관법 개정안’은 관장 직무가 운영을 심각히 저해할 경우 보훈부장관이 대통령에게 해임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김 관장의 거취 논란은 정치·법적 절차로 비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독립운동가 후손 황선건 6·10만세운동유족회 회장은 “고령의 후손들이 식음을 전폐하며 농성 중이다. 정치권이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단식투쟁을 예고했다.
김 관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기념사의 전체 맥락을 보지 않고, 무엇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도 잘라버리고 일방적 주장을 하고 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