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일부 부서의 수원 이전 계획이 철회된 것을 계기로 전북 정치권에서 농협중앙회의 전북 이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재부상했다.
이성윤 더불어민주당 전북 의원(전주을)은 22일 "농진청에서 '일부 수도권 이전계획을 취소'했다"며 "늦게나마 탈전북 계획을 철회한 건 다행"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윤 의원은 "전북으로 이전했던 농진청 부서 일부를 다시 수도권으로 이전하겠다는 것이 윤석열 정권 때 이미 결정된 것이라고 한다"며 "전북도민의 뜻을 받아들여 농진청이 일부 부서의 이전 결정을 철회하기로 해 다행이다"고 말했다.

이성윤 의원은 "전북은 농생명 특화지역이다. 농진청, 국립농수산대학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같은 농업관련 기관이 이전해 있고, 농생명 자원도 풍부하다"며 "향후 이런 공공기관이 수도권으로 역행은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성윤 의원은 "말이 나온 김에 서울에 있을 이유가 없는 농협중앙회도 전북으로 이전해야 마땅하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농협중앙회의 전북 이전 여론은 수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공공기관 2차 이전이 늦어지며 그동안 사실상 메아리 없는 외침에 그친 바 있다.
하지만 민주당 법률위원장인 이성윤 의원이 전북 현안을 재환기하고 강한 의지를 내비침에 따라 향후 새로운 국면이 기대된다.
특히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마련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에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돼 농협중앙회의 전북 이전 기대감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3년에 '혁신도시 성과평가 및 정책방향 연구용역'을 발주했으며 그 결과가 오는 10월경에 나올 것으로 보여 2차 공공기관 이전의 밑그림이 될 것 아니냐는 관측도 흘러나온다.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2차 공공기관 이전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자 각 지자체들의 추가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농협중앙회를 농도인 전북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1순위 유치기관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 한국투자공사 등 농생명·자산운용금융 분야 기관을 핵심축으로 한 맞춤형 유치활동에 나서고 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