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내년도 공립교사 임용 규모를 대폭 축소하겠다고 발표하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일방적인 교원 감축은 교육의 질을 위협하고 공공성을 약화시키는 행위"라며 교육부 정책을 규탄하고 나섰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25일 성명을 내고 "교육부의 교원 정원 감축 정책은 서울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의 교육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며 "광주시교육청은 교원 정원 감축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8일 2026학년도 전국 공립 유·초·중등교사 임용 규모를 올해(1만545명)보다 15% 줄어든 8894명으로 사전 예고했다. 이에 서울교육청이 "교육 황폐화가 우려된다"며 재검토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하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학령인구 감소 속도보다 교원 감축 속도가 더 빠른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이들은 "광주 지역은 광산구, 남구 등 인구 밀집 지역의 과밀학급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며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에 육박하는 학교가 여전히 많은 상황에서 교원마저 줄이면 교육의 질 저하는 불 보듯 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초학력, 특수교육, 다문화 교육, 학생 정서 지원 등 교육 현장의 책임과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다"며 "늘어나는 교육 수요에 맞춰 안정적인 교사 정원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광주시교육청을 향해 구체적인 행동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시교육청에 △교육부에 정원 재조정 건의△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통한 공동 성명 발표 △국회 교육위원회에 지역의 어려운 사례 전달 △교원단체와 소통 및 정원 확보 협력 등을 제안했다.
전교조 광주지부 관계자는 "교원 정원 감축은 최근 몇 년간 교육 현장에서 끊임없이 문제 제기됐던 사안"이라며 "지금이야말로 광주시교육청을 비롯한 전국의 시도교육청이 연대해 교육의 본질을 지키기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