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장동혁 대표' 결과에 국민의힘서도 "한동훈 정치적 데미지 크다" 평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장동혁 대표' 결과에 국민의힘서도 "한동훈 정치적 데미지 크다" 평가

김용남 "한동훈, 국민의힘에서 리더 자리 불가능…새 정치세력화도 불가능"

국민의힘 전당대회 결과 새 당대표에 장동혁 후보가 선출되면서 한동훈 전 대표가 "정치적 데미지를 입었다"는 평가가 국민의힘 소장파로부터 나왔다.

'첫목회'소속으로 소장파로 분류되는 이재영 전 국민의힘 의원은 26일 MBC 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에 출연해 "양자 구도가 되면서 김문수 후보가 무난하게 (당대표가) 되지 않겠냐. 저도 그렇게 생각했고 많은 분들 그렇게 예측을 하셨는데 한동훈 전 대표가 페북에 글을 올리면서 약간 기류가 바뀌는 걸 당원들로부터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전 의원은 '기류가 바뀐 한 전 대표 글'로 지난 23일 그가 페이스북에 올린 "민주주의는 '최악을 피하기 위한 최선의 제도'"라는 글을 꼽았다. 이 글에서 한 전 대표는 "적극적으로 투표해 국민의힘이 최악을 피하게 해 달라"고 했다.

이 전 의원은 이를 두고 "내가 차악을 뽑아야 되면 내 표가 최악 아니면 차악 둘 중에 하나밖에 없는 셈이다. 어떤 분이 저한테 '꼭 그렇게 표현했어야 됐느냐'고 했다"며 "'이왕 도와줄 거면 그냥 뭔가를 통합하고 미래를 얘기할 수 있는 그런 후보를 뽑아주십시오라고만 해도 다 알아들을 텐데 꼭 그런 식으로 얘기를 했어야 됐나'라는 아쉬움을 가지고 계셨다"고 언급했다.

나아가 이 전 의원은 "'차악을 뽑아달라' 이 얘기보다 아예 '김문수 뽑아주세요' 이렇게 나가면 차라리 나을 수도 있었다"며 조경태 후보와 안철수 후보 표가 "만약 찬탄이다라고 하면 그게 혹여라도 한동훈 표라서 김문수한테 갔으면 당연히 이겨야 되는 건데 그 결과가 안 나왔다. 그런 의미에서 한동훈 전 대표(페이스북 메시지는) 선거 개입 아닌 개입인데 적극적이지 못했다. 이번에 2000표 차이에서 조금은 회자가 될 것 같다"고 했다.

한 전 대표의 메시지가 소극적이어서 2000표 차로 당락이 갈린 선거 결과 책임론이 일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이미 벌써 최고위원들은 다 뽑히고 했으니까. '나 투표 안 할란다'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이게 어떻게 나중에 보여질까'가 궁금했는데 이렇게 결과가 났다"고 했다.

이 전 의원은 '한동훈 전 대표의 정치적 데미지가 상당하겠다'는 진행자 질문에 "좀 있을 것 같다"며 "이번에 그 정치적 발언(최악을 피하게 해 달라는 발언)은 득보단 실이 많았다"고 평가했다.

한편 해당 '정치적 데미지'를 두고 방송에 함께 출연한 김용남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앞으로 국민의힘에서 (한 전 대표가) 어떠한 리더의 자리를 다시 차지하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또 친한계와 함께 국민의힘 탈당 후 새 정치세력을 만들기도 불가능하다고 김 전 의원은 단언했다.

김 전 의원은 "(친한계가) 그 정도 세도 안 될 뿐더러, 그런 거는 DJ, YS, JP 정도 급이 돼야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관련해 "(친한계가 정치세력화하려면) 국민의힘 혁신을 바라보는 것보다 정당법 개혁이 빠르다"며 "(현 체제로는) 어떤 비민주적인 정당 운영을 하더라도 모든 기득권이 기존 양대 정당에 집중되니 당을 버리고 나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11일 오후 광주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열린 김화진 국민의힘 전남도당 위원장 취임식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