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를 언급하며 "미국과 대한민국 조선업이 더불어 도약하는 '윈윈'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 호 명명식에 참석해 "대한민국 기업인과 노동자들이 허허벌판 위에 K-조선의 기적을 일궈낸 것처럼 이제 한국과 미국이 힘을 모아 '마스가'의 기적을 현실로 빚어내자"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 직후 곧바로 조선소 현장을 방문하면서 조선업을 고리로 한 한미 협력 확대에 대한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세 협상과정에서 마스가 프로젝트가 중추적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도 이 대통령의 방문은 의미를 갖는다.
앞서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인 MASGA를 언급하며 "우리는 일부 선박을 계약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한국은 선박을 매우 잘 만든다"고 한국의 조선업 능력에 대해 긍정 평가했다. 그는 "우리는 한국에서 선박을 살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한국이 여기(미국)에서 우리 노동자(people)를 이용해 선박을 만들게 할 것"이라며 이 대통령을 향해 "여러분도 (미국으로) 올 것이며 여러분은 이 나라에서 많은 선박을 건조할 것이다. 난 그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선박을 한국 조선소에서 주문하되 일부는 한국 조선업체들이 대미 투자를 통해 미국에서 건조하게 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이곳 필리조선소를 통해 72년 역사의 한미 동맹은 안보 동맹, 경제 동맹, 기술 동맹이 합쳐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의 새 장을 열게 될 것"이라며 "제가 트럼프 대통령에 제안한 '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프로젝트'는 사라진 꿈을 회복하게 하겠다는 거대한 비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한화그룹은 1801년 미국 해군조선소로 설립돼 1997년 민영조선소로 운영되던 필리조선소를 지난해 12월 인수했다. 이는 한국 조선기업이 미국 현지 조선소를 인수한 첫 사례로, 이날 명명되는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는 한화 필리조선소로 새출발한 이후 처음 완성된 선박이다. 한화 측은 1척당 3억 달러의 가격으로 미국 해양청으로부터 5척의 국가안보다목적선 건조를 의뢰받았고 이날 명명되는 선박도 그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세계를 무대로 펼쳐질 마스가 프로젝트는 대한민국과 미국이 함께 항해할 새로운 기회로 가득한 바다의 새 이름"이라며 "대한민국의 조선업이 이제 미국의 해양 안보를 강화하고, 미국 조선업 부활에 기여하는 새로운 도전의 길에 나서게 됩니다. 동맹국의 대통령으로서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순방 마지막날인 이날 필라델피아 이동에 앞서 워싱턴DC 인근 알링턴 국립묘지를 참배했다. 이어 필라델피아로 넘어가 이곳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했던 서재필 박사 기념관을 방문했다. 한국 대통령이 서재필 기념관을 방문한 것은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 방문 이후 26년 만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미국 방문에서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서재필 박사의 정신이 깃든 기념관을 방문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필리조선소 시찰을 끝으로 이 대통령은 3박6일 간의 방일·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 길에 올랐다. 한국 시간으로 28일 새벽 서울공항에 도착하면서 순방을 마무리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