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에서 공공기관을 사칭한 물품 구매사기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에서 또 다시 유사 사건이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프레시안>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5일 경기도내 한 지역에서 관할 교육지원청 소속 직원을 사칭한 물품 구매사기 사건이 발생했다.

교육지원청 직원을 사칭한 익명의 남성은 지난 25일 A홍보용품 제작업체와 문구업체 등 2곳에 "교사들에게 증정할 선물을 구매하고 싶다"고 전화를 걸어 250만8000원 상당의 텀블러 구매를 의뢰했다.
이후 해당 교육지원청의 로고와 담당자 성명 및 직위 등이 기재된 위조명함을 휴대전화로 전송하고, 이메일을 통해 고유번호증과 발주확인서 등이 포함된 공문을 보냈다.
그는 이후 재차 업체 측에 전화를 걸어 "학생들이 급하게 입을 방염복 27벌도 필요하다. 방염복 비용 1억여 원을 먼저 업체에 대납해 주면 추후 텀블러 금액과 함께 결제하겠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는 최근 잇따르고 있는 공공기관 사칭 사기 수법과 유사한 형태다.
이 같은 사실은 각 업체들이 자신들이 위치한 지역이 아닌 교육지원청에서 구매 요청을 한 점을 수상하게 여겨 전날(26일) 오전 직접 교육지원청으로 연락해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사기범이 제시한 공문과 고유번호증 및 명함 등은 해당 교육지원청이 사용 중인 양식이 아닌데다 물품 주문 방식도 달라 쉽게 사기 여부가 확인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실제 금전적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해당 교육지원청은 추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이날 관할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전화로 물품을 요청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다 있더라도 청사 내선번호로 연락하는 만큼, 휴대전화로 구매 요청을 하는 경우는 일단 의심해 봐야 한다"며 "특히 물품 대리 구매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절대 없는 만큼, 의심스러운 물품 구매 제안을 받을 경우에는 반드시 해당 기관으로 직접 연락해 진위 여부를 확인해 피해를 예방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과 일선 교육지원청 등은 유사사례의 예방을 위해 선제적으로 홈페이지와 SNS 등을 통해 범죄 예방을 위한 안내를 강화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