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취약계층 주택을 찾아 전기설비를 점검하며 화재 예방에 나섰다. 도내 주택화재 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네 건 중 한 건꼴로 차지하고 있어 선제적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북도는 27일 임실군과 한국전기안전공사 전북본부,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와 함께 임실군 내 취약세대 2곳을 방문해 누전차단기와 전등, 인입선을 교체했다.
현장에는 전북도 도민안전실장과 임실군수, 전기안전공사·한전 관계자 등이 함께 참여해 전기화재 예방법을 안내하고 직접 교체 작업에 나섰다.
전북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주택화재는 총 469건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전기적 요인이 108건(23%)으로 부주의(250건, 53%)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전북도는 이를 계기로 2023년부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전기재해 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한국전기안전공사는 각 세대 전기설비를 점검해 노후·위험 설비를 교체했다. 한국전력공사는 관촌면 취약계층 132세대에 800만 원 상당의 전기안전용품을 지원하고, 인입선 교체를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오택림 도민안전실장은 “전기화재는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사고인 만큼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예방행정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올해 총 2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도내 14개 시·군 2253세대의 전기안전점검과 노후설비 교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임실군은 132세대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