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발맞춰 광역 교통망 확충에 나섰다.
전북도는 전주~대구 고속도로와 전라선 고속화 사업을 비롯한 6개 핵심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을 국가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며, 지역 균형발전의 동맥을 놓겠다는 구상을 본격화했다.
도는 국토교통부가 지난 18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발표한 ‘교통혁신 인프라 확충’ 과제와 맞물려 전북의 SOC 확충 논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건의안에는 △전주~대구 고속도로 △완주~세종 고속도로 △새만금~목포 서해안선 철도 △전주~김천 철도 △국가식품클러스터 인입선 △전라선 고속화 등 고속도로 2개, 철도 4개 노선이 포함됐다.

대표 사업인 전주~대구 고속도로는 무주, 성주를 거쳐 대구로 이어지는 동서 3축 국가간선도로망이다. 수십 년간 단절된 영호남 간 교통을 직결해 물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교류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국가 균형발전의 상징적 의미도 지닌다.
완주~세종 고속도로 역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수도권 접근성을 개선해 전북의 성장 잠재력을 넓히는 관문으로 꼽힌다.
철도 사업도 주목된다. 새만금~목포 서해안선 철도는 서해안 물류와 관광의 새로운 축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전주~김천 철도는 전북과 경북을 연결하는 내륙 교통망을 새롭게 형성한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인입선은 대규모 산업 물류를 지원하고, 전라선 고속화는 노후 선로 개량과 선형 개선을 통해 운행 속도를 높여 경쟁력을 강화한다.
법 제도 변화도 전북의 구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개정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전주, 군산, 익산, 김제, 완주가 포함된 전주권이 대도시권에 편입되면서 광역 교통망 확충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이에 전북도는 광역도로·철도·환승센터를 국가계획에 반영해 생활권 교통 편의를 높이고, 전북이 균형발전의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형우 전북도 건설교통국장은 “교통 인프라 확충은 전북만의 과제가 아니라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는 기반”이라며 “정치권과 중앙정부, 인근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SOC 사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