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2차대전 종전을 기념해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의 항일승전 80주년(전승절) 기념행사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하기로 결정했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다자 외교 무대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8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쑈전쟁승리 80돐 기념행사에 참석하시기 위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시게 된다"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습근평동지의 초청에 따라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쑈전쟁승리 80돐 기념행사에 참석하시기 위하여 곧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시게 된다"고 보도했다.
같은날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 격)은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활동'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해외 국가 정상의 참석 명단을 발표했는데, 이 중 김정은 위원장도 포함돼 있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오는 3일 열릴 전승절 행사에는 김 위원장뿐만 아니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이란 등의 정상이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에서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을 계획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중국에 언제 도착할지 구체적 일자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전승절 참석이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이는 김 위원장의 첫 다자외교 행사 참석으로 기록된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중국, 미국, 러시아, 베트남 등과 양자 외교를 실시했지만 다자 외교 무대에는 참석한 바 없다.
이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 동맹 수준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면서 든든한 우군을 얻은 북한이 자신감을 갖고 이같은 행보를 보이게 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같은 맥락에서 북한이 전승절 참석에 이어 비서방이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주로 남반구나 북반구 저위도에 위치한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가 주축이 되는 다자 외교 무대에 본격 진출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한편으로는 러시아와 밀착 이후 중국과 다소 소원해진 것 아니냐는 관측과는 달리 다자외교 무대에 참석하면서 이번 움직임이 북중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