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대구·경북 광역환승제가 시행된 지 6개월. 대중교통 이용률이 뚜렷하게 상승하며 지역 간 생활권 연결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경북 통근·생활 교류 활발
대구시는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시행 전후인 지난해 4월 24일과 올해 4월 23일의 수치를 비교한 결과, 하루 평균 통행량이 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승차는 109만 6천 건에서 118만 건으로 7.6% 늘었고, 하차는 65만 2천 건에서 70만 5천 건으로 8.1% 증가했다.
환승 건수는 같은 기간 10.3% 증가한 17만 4,967건을 기록했다. 대구시는 이 수치를 바탕으로 환승 제도가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인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경산, 구미, 칠곡에서의 이용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2025년 상반기 전체를 분석한 결과, 대구를 오가는 인구는 하루 평균 1만 8500여 명 늘었으며, 3~5월에는 대학 개강 등으로 통행량이 더 크게 증가했다.
시간대별 이용도 변화가 뚜렷하다. 출퇴근 시간에는 직장인과 학생 중심의 대구 유입·유출이 활발했고, 낮 시간대는 여가·문화 활동 등으로 인한 안정적인 수요가 확인됐다. 반면, 야간에는 경북 거주자의 귀가 수요로 대구에서의 유출이 많았다.
대경선을 이용한 이동 흐름도 다양하다. 구미에서 출발한 이용객 중 하루 평균 1천223명이 대구역, 572명이 동대구역, 376명이 서대구역에서 하차한 것으로 집계됐다. 각 역에서는 성내1동(중앙로), 안심3동(혁신도시), 신당동(계명대) 등 주요 지역 방문이 활발했다. 특히 오후 2시경 성내1동(동성로) 방문이 가장 많았다.
현재 대구시는 장기 데이터를 통한 수요 분석과, 환승 손실비용 분담에 대한 경제성 검토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광역환승 체계 구축을 준비 중이다.
이번 정책은 대구와 경북 8개 지자체(경산, 영천,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김천, 구미)가 함께 참여한 결과로, 총 352만 명의 광역 생활권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허준석 교통국장은 “광역환승 확대는 교통비 절감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하나의 생활권 형성은 국가균형발전 전략에도 부합하는 성과”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