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6년 정부예산안에 역대 최대 규모의 국비를 확보했다.
총 3조6616억 원으로, 이는 전년도 정부예산안(3조3244억 원)보다 3372억 원(10.1%) 늘어난 수치다.
시는 국회 최종 확정액(3조3858억 원)보다도 2758억 원(8.1%) 많아 정부 총예산 증가율(8.1%)을 넘어섰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예산안에는 AI 2단계 사업(240억 원),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10억 원), 자동차 부품 순환경제 혁신 인프라(2억 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AI 2단계 사업은 ‘AX 실증밸리’ 조성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 에너지·모빌리티 전환 등 전방위 혁신을 예고한다. 여기에 ▲인공지능 맞춤형 뷰티기기 지원(10억 원) ▲EV배터리 접합기술 실증(26.8억 원) ▲미래차 전장 핵심부품 플랫폼(2.9억 원)도 반영돼, 광주가 AI와 미래차 허브로 도약할 교두보를 마련했다.
문화 분야에서는 광주시가 오랫동안 추진해온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5억 원),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광주관(10억 원), 국회도서관 분관(1.5억 원) 등 3대 국가 문화시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가 반영됐다.
이외에도 ▲광주 인문학 산책길 조성(1억 원) ▲비엔날레 전시관 건립(55억 원) ▲아시아 캐릭터랜드(45억 원) ▲첨단실감 문화콘텐츠 테마파크(5억 원) 등이 포함됐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회계도 전년 대비 36억 원 늘어난 208억 원이 반영됐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비는 전년보다 267억 원 증액된 1665억 원, 호남고속도로(동광주광산IC) 확장(238억 원), 경전선 전철화(1672억 원), 광주강진 고속도로(668억 원) 등도 확보됐다.
사회 안전망 분야에서는 ▲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17.4억 원) ▲광주청소년디딤센터 건립(35억 원) ▲노인일자리(875억 원) ▲경로당 냉난방비(21억 원) ▲하수도 사업(636억 원) ▲노후 상수도 정비(51.6억 원) ▲광주 운전면허시험장 조성(64억 원) 등이 포함됐다.
증액을 노리는 사업은 ▲수직 이·착륙기 실증시험센터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빛의 진원 민주역사공원 조성 등이 대표적이다. 광주~대구 달빛철도는 6개 시·도 공동 대응을 통해 예타 면제 및 국비 확보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
강기정 시장은 "AI, 모빌리티, 문화 등 광주의 미래 먹거리가 대거 반영됐다"며 "이제는 국회 의결까지 총력을 기울여 최대한 국비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