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혁신도시에 있는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의 내년도 예산안이 1조1000억원으로 편성됐다.
1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안이 올해 대비 6.7%에 710억 원 증가한 1조 1325억 원 규모로 편성됐으며 이 중에서 연구개발(R&D) 분야는 6238억 원으로 전년대비 10.0%(566억 원) 증가했다.
농진청은 농업을 미래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농업 확산과 그린바이오 및 푸드테크 산업화 지원에 1595억 원을 투자한다.

데이터 기반 노지·시설원예 작물 생육진단 자동화 등 인공지능(AI) 기반 작물모니터링 및 진단플랫폼 개발(78억 원)을 신규 추진하고, 밭작물·과수 등 스마트 영농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지 스마트농업 활용모델 개발(38억 원→50)을 확대한다.
또 밀이나 콩 등 주요 작물의 자급률을 끌어올리고 외래품종 대체 식량작물 신품종 개발 및 재배 안전성 강화 등 안정적인 식량주권 확보를 위해 1125억 원을 투자한다.
농진청은 고온·가뭄과 병해충 등에 강한 고품질 품종은 물론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축산물 피해 경감 기술을 개발하고 전국의 농업기상 관측기를 고도화하는 등 기후 적응형 농업 지원을 위해 1516억 원을 투자한다.
이밖에 농업인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농작업 재해예방을 강화하고 지역 특화작목 육성 및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 활성화 등 활력이 넘치는 농촌 구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 지원을 위해 1948억 원을 투자한다.
농진청은 이와 관련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활용 스마트농업 확산 △식량 자급률 향상 △농업·농촌 활력화 △케이(K)-농업기술 확산 등 핵심과제 성과 창출을 위한 분야에 2026년 예산을 중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승돈 청장은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한 식량 자급률 향상 및 수급 안정 지원, 밭농업기계화, 병해충 방제 등 현장의 애로를 해결해 농업·농촌 활력을 높이는 등 새정부 국정과제 이행에 중점을 주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