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1호 기업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서 노조 간부 폭행과 '대출 사기극'을 통한 노조 탄압 의혹이 불거지면서 금속노조가 경영진의 즉각적인 해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GGM의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 광주글로벌모터스(GGM)지회 등 100여명은 1일 오후 파업과 더불어 광주시청 앞에서 'GGM 대표이사·상생안전실장 해임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사측의 폭력적인 노무관리를 규탄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GGM상생안전실장이 피켓팅을 진행하던 노조 지회장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노조는 "사측이 파업을 빌미로 '대출은행에 조기상환을 요구해 1960억 원을 상환했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며 노조를 협박했다"고 강조했다. 대출은행 측에서 공식적인 상환 요구가 없었다고 확인해주면서 '대출 사기극'이었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이정준현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장은 대회사에서 "폭력 행위가 난무하고 거짓과 사기극이 통하는 회사는 결코 광주형 일자리가 될 수 없다"며 "현 정부가 노동 존중을 내건만큼 강기정 시장이 이 문제에 직접 답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가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폭력이 지배하는 공장은 '노사상생'이 불가능하며 지속가능한 청년 일자리 또한 생길 수 없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강 시장은 면담을 거부하고 캐스퍼 20만대 양산 기념식만 준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폭력·협박을 자행한 GGM 대표이사와 상생안전실장 즉각 해임 △광주시의 책임 있는 문제 해결 △노동의 권리가 보장되는 일자리 구축 등을 촉구했다.
이날 집회 참가자들은 노조 지회장 폭행 당시의 동영상을 함께 시청하며 분노를 표출했으며 집회를 마친 뒤 광주시에 요구안을 공식 전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