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시민사회가 2일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경영진의 노조 탄압을 '반인권적 행위'로 규정하고 사장과 상생안전실장의 즉각적인 해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26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GGM 경영진은 노동자들의 피땀 위에 세워진 20만대 생산 실적 뒤에 숨어 비상식적인 행동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상생 일자리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분규를 조장하는 경영진의 해임에 1대 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나서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GGM 경영진의 최근 행태에 날을 세웠다. 이들은 "경영진이 '노조 파업 때문에 대출은행이 조기상환을 요구해 상환했다'는 명백한 거짓을 유포해 노조를 비방했고 이에 항의하는 노조 지회장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또 GGM 경영진이 '누적생산 35만대까지 무분규' 조항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노동기본권을 부정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단체는 "해당 조항은 노동 3권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노사상생협의회는 노동권 관련 법령을 존중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면서 "이를 근거로 노조를 비난하는 것은 명백한 부당노동행위"라고 주장했다.
GGM의 저임금 구조와 현대차의 유럽 전기차 공장 신축도 비판했다.
이들은 "급격한 물가상승에도 초임 평균 연봉은 3500만 원에 묶여있고, 이는 비슷한 차종을 생산하는 동희오토의 60% 수준"이라며 "생산 주문이 밀려드는 상황에도 국내 공장 증설 약속은 외면한 채 유럽에 공장을 짓겠다는 것은 반(反)상생 행위"라고 비판했다.
광주시민협의회는 "상황이 이러함에도 1대 주주인 광주시는 손을 놓고 사측에 동조해 노동자들의 항복을 종용하고 있다"며 "광주시는 △폭력·거짓을 앞세운 사장과 상생안전실장 해임에 나설 것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배제된 GGM 노동자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