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사 갈등에 대해 시민사회가 경영진의 노조탄압을 주장하며 사장 등의 해임을 촉구하자, 사측이 즉각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광주지역 26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2일 성명서를 내고 "GGM 경영진이 노조 파업을 빌미로 '대출은행이 조기상환을 요구했다'는 거짓을 유포하고, 항의하는 노조 지회장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측이 적반하장격으로 공장출입문 파손, 건조물 침입,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금속노조 조합원들을 고소까지 했다"며 사장과 상생안전실장의 해임을 촉구했다.
또한 "경영진이 '누적생산 35만대까지 무분규' 조항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노동기본권을 부정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1대 주주인 광주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GGM 사측은 즉각 반박문을 내고 시민단체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정면으로 맞섰다.
먼저 '대출 중단' 협박 주장에 대해 사측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노사갈등이 보도될 때마다 GGM노사 동향을 점검했다"며 "2025년 12월이 대출만기인 상황에서 심한 압박감을 느꼈다"고 반박했다. 이어 "2000억 원의 채무 해결은 회사의 가장 큰 과제"라며 "이를 사측이 노조 압박용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왜곡하는 것은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 지회장에 대한 폭행 의혹에 대해서는 "스스로 넘어진 것"이라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사측은 CCTV 정황과 당시 직원 진술을 근거로 "누가 봐도 밀어서 넘어진 것이 아니다"며 "오히려 응급조치 없이 현장을 촬영한 조합원들이 심각한 상황을 연출하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금속노조 조합원 고소에 대해서는 "사전 승인 받지 않은 외부인이 무단 침입해 부서장 폭행과 출입문 파손 등 물리력을 행사한 사태"라며 "정당한 조합 활동은 보호돼야 하지만 이러한 불법 행위에 대해서 재발 방지를 위해 엄중 처리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