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네이버가 도민의 기후행동과 기후소득을 촉진하는 새로운 민관 협력 모델을 구축했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이날 성남시 소재 네이버 1784 본사에서 ‘제2차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경기도의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과 네이버의 ESG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기행기소 실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종이 우편물 대신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통해 우편을 수령하면 리워드를 지급하고, 이 리워드를 네이버 해피빈 포인트로 전환해 사회공헌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로써 도민의 일상 속 친환경 실천이 소비, 기부, 사회 참여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가 기대된다.
김동연 지사는 “이번 주는 경기도 기후 슈퍼위크로, 도는 UN이 제정한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청정대기 국제포럼을 개최했고, 앞으로는 도내 프로스포츠 구단들과 다회용기 사용 협약도 체결할 예정”이라며 “기후대응에서 경기도는 RE100, 기후펀드, 기후보험 등 전국 최초 사업들을 선도해 왔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도민 참여 기반의 기후 프로젝트로 ‘기후행동 기회소득’과 ‘기후도민총회’를 언급하며, “아무리 좋은 정책도 국민 삶에 체화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에는 150만 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도민총회에 대해서는 “국회처럼 입법권은 없지만, 도민이 실제로 정책 논의에 참여하는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회의에서는 경기도의 기후·환경·에너지 통합 플랫폼인 ‘경기기후플랫폼’의 재생에너지 입지 분석과 기후경영 서비스도 소개됐다. 최근 빈번해진 극한호우, 산사태, 폭염 등 기후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수립과 도민 활용 방안도 논의됐다.
또한 도는 ‘경기 RE100’의 성과 가시화를 위해 공영주차장, 농가, 철도 등 유휴 공간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총 749억 원의 도비를 투입해 19.8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하고, 에너지 전환 실행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는 김 지사와 도의원, 학계, 산업계, 청년, 노동계 등 총 41명으로 구성된 도의 최상위 기후정책 심의기구다. 김 지사는 “기후와 행정뿐 아니라 사회 구조, 정책 결정, 정치 구조까지 폭넓게 검토하는 위원회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회의 장소인 네이버 1784 본사는 AI, 클라우드, 로봇, 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을 실제 건축물에 융합한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건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