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전주·완주 행정통합과 관련해 “통합은 무엇보다 주민 동의가 가장 중요하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윤 장관은 3일 전북 완주군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개원 60주년 기념행사에서 “주민투표는 찬성과 반대가 공존하는 절차이기에 어느 한쪽의 반발을 무시한 채 강행할 수 없다”며 “찬반 양측이 모두 의견을 모아야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유희태 완주군수 등 지역 지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겠다”며 “무엇보다 주민 의견을 잘 수렴해 입장을 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방시대위원회를 거쳐 행안부로 넘어온 사안에 대해서도 “지역 여론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확인했다.
지역 정치권에서 제안한 ‘6자 회담’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뒀다. 윤 장관은 “의견 합의의 여지가 있다면 회담도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 회담에는 행안부 장관을 비롯해 김관영 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 민주당 이성윤·안호영 의원이 참여하게 된다.
윤 장관의 완주 방문에 맞춰 통합 찬성·반대 단체가 행사장 인근에서 각각 집회를 열었지만, 우려했던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발언은 최근 다시 속도를 내던 통합 논의에 제동을 거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주·완주 통합은 전북의 대도시권 부재라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꾸준히 거론돼 왔지만, 주민투표 단계마다 갈등이 격화되며 번번이 무산됐다.
윤 장관이 내건 ‘찬반 양측 합의’라는 전제조건은 사실상 높은 장벽으로, 단순 과반 찬성만으로는 추진이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결국 통합 논의의 주도권은 다시 지역사회와 정치권으로 넘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