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2·3 불법계엄 당시 광역자치단체장들의 내란 가담 여부에 대한 수사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의 대응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장은 지난달 31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단체장 다수가 계엄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출입을 통제한 채 비상 간부회의를 진행했다"며 조사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여권은 물론 야권 내부에서도 오영훈 제주도지사 등 민주당 소속 단체장 일부가 수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당내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 와중에 강기정 시장의 선택은 뚜렷하게 대비된다.
불법계엄 선포 직후 강 시장은 광주시청에서 '헌법수호 비상계엄 무효선언 연석회의'를 즉각 소집했다. 자치구, 시의회, 시민사회, 교육계, 종교계 등 지역 각계 대표들과 함께 "반헌법적 비상계엄은 무효"라고 선언하며, 정면으로 계엄에 맞선 것이다.
현재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은 김동연 경기도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관영 전북지사, 오영훈 제주지사 등 5명이다. 이 가운데 김동연 지사는 도청 폐쇄 명령을 거부하며 행정공백을 막았고, 강 시장은 청사 개방과 계엄 무효 선언으로 시민사회와 함께하는 대응을 이끌어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같은 당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광역단체장들의 대응이 극명하게 갈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5·18 정신이 살아 있는 광주에서 보여준 강기정 시장의 리더십은 민주당 정체성을 구현한 사례로 부각된다.

지역 정가의 반응도 비슷하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계엄이라는 초유의 상황에서 각 단체장의 정치적 철학과 위기 대응 능력이 그대로 드러났다"며 "강 시장은 시민 안전을 우선시하며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했다. 이는 민주당 광역단체장이 보여야 할 모범적 태도였다"고 평가했다.
반면 일부 지역의 미온적 태도는 아쉬움으로 남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강기정 시장의 행보는 시민과 함께 계엄에 맞선 모범 사례로 거론되지만, 모든 광역단체장이 같은 수준의 결단을 보여주지 못한 것은 당으로서 뼈아픈 대목"이라고 말했다.
전현희 위원장이 제기한 특검 수사가 본격화될 경우, 당시 각 광역단체장들의 대응은 낱낱이 드러날 전망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강기정 시장의 사례를 기준으로 단체장들의 정치적 책임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