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이 여름철 시민 먹거리 안전을 위해 농수산물 잔류농약 집중 검사를 벌인 결과 총 904건 중 12건(1.3%)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농수산물도매시장과 대형마트, 전통시장, 로컬푸드 직매장 등 주요 유통 경로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검사 결과 도매시장 경매 전 검사 416건 가운데 3건이 부적합으로 확인돼 즉시 압류·폐기 조치됐고 경매 후 검사 377건에서는 9건이 적발돼 전국 농수산물도매시장 반입이 차단됐다.
주요 부적합 품목은 상추, 가지, 고춧잎, 치커리 등 여름철 소비가 많은 채소류였다.
반면 시중 유통 농산물 111건은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아 안전성이 확인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734건 검사에서 3건(0.4%)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과 비교하면 검사 건수를 크게 늘려 관리 강도를 높였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정태영 대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잔류농약 검사를 강화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우리 농산물을 소비할 수 있도록 안전한 먹거리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농산물 안전성 확보는 비단 대전만의 과제가 아니다. 서울시는 올해 검사 항목을 475종으로 확대해 지난해 유통 농산물 9041건을 검사했고 이 가운데 229건이 기준치를 초과해 즉시 회수 조치됐다. 전북도 역시 상추, 깻잎 등 여름철 다소비 채소를 대상으로 검사 건수를 늘려 520건 중 5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반면 경기도는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로컬푸드 직매장과 마트에서 수거한 105건 전부가 적합 판정을 받아 지역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옥천군도 농약 463종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춘 농산물안전분석실을 운영하며 출하 전 사전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