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산권의 숙원 사업인 서부산의료원 건립 사업이 10여 년만에 본궤도에 올라서는 가운데 부산시의회가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임대형민간투자사업(BTL)으로 추진되는 서부산의료원은 사하구 신평동 일대에 들어서는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급 공공의료시설이다. 필수진료과목을 갖추는 한편 감염병 대응 등 24시간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운영되며 최신 의료장비를 도입해 지역 내 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자리한다는 계획이다.
준공과 동시에 시설 소유권은 부산시에 귀속되지만 사업시행자인 서부산힐링플래닛이 20년간 시설 관리운영권을 가진다. 시행자 측에 20년간 시설임대료와 운영비도 지급해야 한다. 시설임대료와 운영비를 합하면 부산시가 연간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약 90억원에 달한다.

특히 부산의료원의 경영적자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서부산의료원의 개원은 부산시 재정에 큰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부산의료원은 지난해 17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부산시는 추경을 통해 출연금을 174억원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런 상황에서 서부산의료원이 개원하게 되면 부산시가 떠안는 금액은 크게 늘어나게 된다.
부산시의회가 우려하는 것은 이 부분이다. 박희용 부산시의원(부산진구1, 국민의힘)은 "공공의료 확충이라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준공 이후 20년간 시가 매년 시설관리, 운영비를 의무적으로 지급해야 한다"며 "재정적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서부산의료원이 단순히 또 하나의 적자 병원이 되서는 안된다"며 공사가 지연되거나 귀책사유 발생시 부산시에 추가 재정 부담이 돌아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부산시에 공사기간 준수, 책임소재 명확화, 재정부담 최소화를 원칙으로 할 것을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