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광역자치단체 전산망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최근 5년 동안 2000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36건의 해킹 공격이 이루지는 셈이어서 공격유을 분석한 리스크 최소화 방안이 절박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 익산을)이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9일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최근 5년간 정부 전산망 대상 해킹시도는 총 55만 100건에 달했다.

공격 유형은 △정보유출 18만 6766건(34.0%) △시스템 권한획득 12만 2339건(22.2%) △정보수집 11만 739건(20.1%) △홈페이지 변조 6만 5545건(11.69) 등으로 탈취 및 침투형 공격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 중에서 전북 지자체 전산망을 겨냥한 해킹 시도는 총 2001건으로 부산(975건)이나 세종(273건) 등지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북 광역단체 전산망을 겨냥한 해킹 시도는 2021년에 705건을 기록한 후 이듬해에 718건으로 소폭 상승하는 등 매월 60건 이상 대규모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전산망 해킹 시도는 보안이 강화된 2023년에 279건으로 급격히 감소한 후 작년에는 170건으로 뚝 떨어졌다. 하지만 올들어 7월말까지 전북에서만 129건을 기록하는 등 월평균 18건으로 다시 증가추세를 보였다.
한병도 의원은 "전북 등 비수도권 지자체가 수도권 못지 않은 공격을 받고 있는 만큼 보안 인프라와 관제체계의 지역 편차가 없도록 살펴야 한다”며 "고위험 유형을 정밀 분류해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등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