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을 헌법전문에 수록하기 위한 부산 지역사회의 움직임이 시작된다.
부마민주항쟁 헌법전문 수록 범시민추진위원회는 10일 출범식을 열고 활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위원회에는 부산 지역사회 원로인 송기인 신부와 문정수 전 부산시장을 비롯한 25개 시민단체와 정당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정부와 정치권에 부마항쟁의 헌법전문 수록 공식화를 촉구하며 국회를 대상으로 헌법 개정안에 부마항쟁을 명시적으로 포함시킬 것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부마항쟁의 헌법전문 수록은 문재인 정부 시기인 지난 2018년부터 추진됐지만 개헌이 무산되면서 불발됐다. 그러나 이후에도 부마항쟁 정신 계승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면서 지난해 11월엔 대한민국시·도협의회장협의회가 헌법전문 수록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내기도 했다.
위원회 측은 지난 5월 이재명 당시 대선 후보와 만나 부마항쟁의 헌법전문 수록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정부가 개헌을 1호 국정 과제로 하고 있는만큼 위원회는 이번 기회가 적기라고 보고 부마항쟁의 헌법전문 수록을 위한 범시민적인 움직임을 시작한다.
1979년 10월 16일 일어난 부마항쟁은 유신독재에 항거한 시민 항쟁이다. 4·19혁명에서 시작해 부마항쟁을 거쳐 5·18광주민주화운동과 6·10민주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주의 연대기의 주축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1987년 만들어진 현행 헌법에는 3·1 운동과 4·19혁명만이 헌법 정신으로서 기재돼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