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충청권 광역단체의 현안 반영 증가율이 전북을 크게 웃돌면서 전북 정치권의 향후 역할론이 재소환되고 있다.
10일 전북지역 사회단체들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이틀 전인 8일 대전·세종·충북·충남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지역 숙원사업 예산 반영을 약속했다.
정청래 대표는 이 자리에서 "당정이 힘을 모은 결과 내년 정부예산안에 충청권 현안 예산으로 28조원 반영됐다"며 "충청인의 바램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당 지도부에서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그러면 정 대표는 충청권 4개 광역단체의 올해 대비 내년도 예산 증가율을 아주 구체적으로 소개해 전북 지역민들의 부러움을 샀다.
정 대표가 이날 공개 발표한 충청권의 올해 대비 내년 예산 증가율은 충남이 10.6%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세종 9.4%, 대전 7.6%, 충북 5.5% 등이었다.
전북 출신의 한병도 국회 예결위원장은 '충청권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한 후 페이스북에 "충청이 행정수도를 완성하고 과학수도로 도약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기겠다"며 농익은 러브콜을 보내기도 했다.
충청권 4개 광역단체의 예산 증가율을 평균으로 접근해도 8.3%에 육박하는 등 전북 증가율(4.3%)에 사실상 2배에 가까운 것이어서 지역민들 사이에 "전북 정치권은 무엇을 했느냐"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국회 전반기 예결위원장이 전북 출신의 한병도 의원(익산을)이고 당과 정부와 대통령실의 당·정·대에 전북 출신이 요직을 꿰차고 있지 않으냐"며 "그럼에도 전북의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 성적이 다른 지역 평균 증가율에 턱없이 못 미치는 것은 전북도의 무기력과 정치권의 전투력 저하가 빚어낸 결과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지역민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전북 삼중소외론'에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균형성장을 강조하는 등 속칭 전북이 낙후를 떨쳐낼 '멍석'은 깔려 있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의 의지가 명확하고 전북 인물도 요직에 배치된 상황에서 전북이 제 몫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 화살은 정치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지역민들은 21대 대선에서 전북은 이재명 대통령에 82.6%의 표를 몰아준 곳임을 상기하며 정권교체의 주역에 상응하는 대접을 지역 현안 해결로 받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은 한쪽에 표를 몰아주지 않고 약간만 더 주는 식으로 여야 양쪽에 항상 충청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긴장감을 준다"며 "여야가 그 약간의 표를 더 얻기 위해 농익은 러브콜을 보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1대 대선에서도 충청권은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에 40% 이상씩의 표를 나눠줬다. 대전의 경우 이재명 후보에 48.5%를 지지하고 김문수 후보에는 40.6%를 줬으며 충남 역시 47.7% 대 43.7%의 비율을 보였다.
국민의힘 등 야권에서는 "잡은 물고기에 떡밥을 주지 않듯 특정 정당 독주의 현실을 탈피하지 않는 한 국가예산 확보 전선에서 균형성장을 위한 전북몫 파격적 배려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틈새를 공략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