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 사업에 전북 14개 시군이 모두 포함됐다.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이 각 지역과 짝을 맺어 교류와 소비를 늘리는 방식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날지 주목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확대 정책의 연장선에서 마련됐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제외되고 전국 141개 기초지자체가 대상이며, 전북은 도내 14개 시군 전체가 참여한다.

전주시는 특허청, 익산시는 법제처, 군산시는 해양수산부와 각각 연결됐다. 김제시는 외교부, 남원시는 소방청, 정읍시와 완주군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협력한다. 이어 고창군은 행안부, 부안군은 국토교통부, 순창군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실군은 기획재정부, 진안군은 국무조정실, 무주군과 장수군은 통계청과 매칭됐다.
협력 방식은 기관 직원들의 지역 방문, 단체 관광, 특산품 구매 장려 등으로 구체화된다. 워크숍이나 회의, 체육대회를 해당 지자체에서 개최하고, 휴가철 여행을 독려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각 기관은 기념품이나 명절 선물로 협력 지역의 특산품을 우선 선택하고, 직거래 장터나 바자회를 정례화해 소비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전북도는 이번 자매결연이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생활 인구 확대와 지역 현안 해결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서재영 전북도 일자리민생경제과장은 “정부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자매결연을 넓혀가고, 성과 사례를 공유해 민간 참여까지 이끌어낼 계획”이라며 “중앙부처와의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생활 인구 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