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시가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정책과 실천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지속 가능한 녹색성장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행정적 기반과 함께 시민 중심의 참여정책을 적극 확대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무엇보다 탄소중립과 녹색성장, 기후위기에 대한 기본계획과 적응대책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기반을 닦고 '탄소중립지원센터'를 지정·운영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진주시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과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수립해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는 한편 기후위기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면서 건강피해 예방·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중장기 실행계획과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마련하는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다.

시의 '탄소중립지원센터' 운영도 눈에 띈다. 이 센터는 지난 2월부터 탄소중립 정책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지정·운영하고 있다.
특히 기본계획 수립부터 실행·성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지자체에 정책 자문과 기술적 도움을 제공하고 교육과 홍보·시민참여 프로그램 기획 등을 통해 지자체 역량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진주시가 지역 특성에 맞는 탄소중립 시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시는 대기오염 저감과 교통 분야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확대에 힘쓰고 있다. 현재 전기자동차 6985대와 수소자동차 225대를 보급했으며 전기자동차 보급률 3.8%로 도내 1위를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3210대에 대한 운행 차의 배출가스 저감 장치부착과 엔진교체 사업을 추진하고 1만 1462대에 달하는 노후 경유차의 폐차 지원을 통해 운행 차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고 있다. 이는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 내 탄소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는 친환경 교통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수소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해 수소충전소 2곳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추가로 수소충전소 2곳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 등에 총 2600기의 공용 전기충전소를 운영하는 등 전기자동차 이용 활성화에도 진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도로 인프라 확충과 함께 공유자전거 대여소와 무인 대여시스템인 '하모타고'를 도입해 시민들이 친환경 이동수단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시는 탄소중립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도 활발히 운영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상시 운영 중인 '탄소중립 포인트제도'는 가정에서 에너지 절약·차량 운행거리 감축 등 생활 속에서 실천을 유도하고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고 내고 있다.
지난 4월에는 '기후변화주간 시민참여 프로그램'으로 전국 소등행사 온라인 탄소중립 활동 인증 캠페인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해 시민의 자발적인 기후행동 참여와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 실천문화를 조성하는데 기여했다.
허현철 환경산림국장은 "기후위기는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우리 앞에 닥친 현실이며 시는 지역 여건에 맞는 탄소중립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함으로써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설 것이다"며 "시민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적극적으로 정책에 참여해 함께 기후위기를 극복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