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수 전북자치도 익산시 감사위원장이 11일 익산시의 간판개선사업 비리와 관련해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함경수 위원장은 이날 오전 익산시청 기자실에서 '수의계약 개선방안' 기자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여러 대책을 내놓았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아니냐"는 출입기자의 질문에 두 차례에 걸쳐 "죄송하다"며 고개를 떨궜다.
수의계약 개선과 관련해 △수의계약 결재권한 상향 △직접생산 여부 현장 확인 의무화 △계약사유·담당자 외부 공개 △동일업체 수의계약 연 5회 제한 △연간 수주 금액 7500만원 제한 △수의계약 기준금액 하향 △퇴직공직자 고용업체 검증 및 신고 의무화 △사적접촉·향응 수수 시 최고 수위 처벌 △비리업체 계약 영구 배제 등 고강도 처방전을 내놓았지만 분위기는 냉랭하기만 했다.

감사위원회는 그동안 수시로 예방감사를 강조해왔지만 일이 터질 때마다 '무관용 원칙'을 주장하며 강력 대응을 읊조린 바 있어 사후약방문식의 '늑장 위원회'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최근 간판개선사업과 관련한 문제로 시청 간부가 구속되고 경찰 조사를 받는 등 혼란이 거듭되자 감사위원회는 금품수수와 횡령 등 중대한 부패행위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전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부패예방을 위해 △청탁방지상담센터 및 부패행위신고센터 운영 △공익제보자 익명성·신분보장 강화 △내부고발 포상 및 인센티브 확대 등을 발표하며 강한 의지를 피력했지만 "그동안 예방감사를 위해선 무엇을 했느냐?"는 지적은 여전히 유효한 실정이다.
감사위원회는 "익산시 본청에 대한 감사는 전북자치도가 정례적으로 하고 있어 본청 감사는 쉽지 않다"고 말하지만 수의계약이라는 특정사안에 대한 특정감사조차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은 실정이다.
함경수 위원장은 이날 지역민에 대한 사과와 함께 "앞으로 관련자를 엄벌에 처하는 등 재발방지를 위해 감사위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말을 덧붙였지만 주변에서는 '사후 청심환'이란 비판이 나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