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가 추진하는 농지은행 사업의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이 총 2조 4000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사업 도입 이래 최대 규모로, 특히 청년 농업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이 대폭 확대됐다.
17일 농어촌공사에 따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공임대용 농지매입사업'으로, 상속이나 이농으로 발생한 농지를 공사가 매입해 청년 농업인에게 낮은 임대료로 빌려주는 방식이다. 내년 예산은 1조 6000억 원으로, 올해보다 약 68% 늘어나 청년들의 최대 애로사항인 농지 확보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선임대후매도사업'에는 770억 원이 반영됐다. 공사가 매입한 농지를 장기 임대한 뒤 매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올해보다 300%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이를 통해 청년 농업인의 초기 투자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경영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청년층에서 선호도가 높은 스마트팜 지원도 본격화된다. 공사 보유 농지에 스마트팜 시설을 조성해 임대하는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 사업'에는 오는 2026년부터 2027년까지 75억 원이 투입되며, 15개소가 조성될 예정이다.
정인노 한국농어촌공사 부사장은 "농업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 농업인의 정착과 성장을 위해 예산뿐만 아니라 제도 개선에도 힘쓰겠다"며 "2026년 농지은행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