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군이 추진하는 ‘기반산업 대전환’ 전략 중 산림 분야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울진 임업사관학교’가 주목받고 있다.
올해 처음 운영된 이 학교는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임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을 아우르는 실전형 교육 과정을 통해 임업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울진형 산림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산림청 지정 산림 전문 교육기관인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이 진행하는 울진 임업사관학교는 지난 12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7주에 걸쳐 50시간의 과정으로 울진 왕피천공원 친환경농업교육장에서 진행되며, 48명의 교육생이 참여하고 있다.
이 과정은 크게 네 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임산물 재배 기술 교육으로, 산마늘, 전호나물, 병풍취 등 산채류와 두릅, 음나무, 초피 등 나무순채류의 특화된 재배법을 다룬다. 둘째, 산림 경영 실습으로 수목 전지·전정, 접붙이기, 산림 경영계획서 작성 등을 배우게 된다. 셋째, 현장 견학을 통해 산림치유원, 산양삼산야초홍보교육관, 백두대간수목원 등을 방문하며 체험형 학습, 넷째, 비즈니스 실전 교육으로 창업 코칭, 블로그 마케팅, 맞춤형 포장재 활용 등 유통 및 브랜딩 역량을 강화한다.
이번 교육은 단기 수료로 끝나지 않는다. 울진군은 교육을 마친 수료생을 대상으로 임업 경영체 등록, 산림 공모사업 연계, 가공센터 활용, 온라인 판로 개척 등 다양한 창업 및 소득화 지원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연계할 계획이다.
특히, 블로그 마케팅, 포장 디자인 실습, SNS 홍보 등 디지털 유통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참가자들이 실제로 창업과 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전환을 이룰 수 있다는 평가다.
울진군은 이번 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의 창업 역량과 유통 기반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진형 산림 비즈니스 생태계가 활성화됨에 따라, 산림 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 창출과 더불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탄소중립, 로컬푸드, 웰니스 산업 등이 부상하는 시대에, 울진군의 임업사관학교는 지역 임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거점이 되고 있다. 임업사관학교는 울진군의 임업 대전환 전략을 실현하는 교육이자, 지역 임업의 미래를 여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고 있다. 울진의 숲은 이제 지역 주민들의 소득과 일자리로 이어지는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임업사관학교는 울진형 산림 비즈니스 생태계를 가속화하는 전환점”이라며, “이번 교육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실제 일자리와 소득으로 이어지는 전국적 모델이 되도록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