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와 인공지능(AI) 융합을 주제로 한 국제적 담론의 장,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가 17일 전남 나주시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에서 성대한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은 오는 18일까지 양일간 진행되며, ▲분산(Distributed) ▲직류(DC) ▲디지털 AI(Digital AI)라는 'DDD 에너지 전환'을 핵심 의제로 다룬다. 미래 전력망 구조와 분산형 에너지 시장 설계, 그리고 탄소중립을 향한 실행 전략까지 폭넓은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개막식에서 윤병태 나주시장은 "AI 시대의 전력망과 에너지 시장 설계, 탄소중립 실현 방안에 대한 세계 각국의 지혜를 모으는 장이 되길 바란다"며 "나주가 글로벌 에너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포럼은 기초자치단체가 주관하는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사전 신청자만 2000명을 돌파해 국내외에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첫날 기조연설에 나선 지난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는 "그래핀을 비롯한 차세대 신소재 연구가 AI 기반 맞춤형 소재 설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혀 청중의 큰 주목을 받았다.
또한 김종권 켄텍 교수, 김성철 한전KDN 연구원장, 이효섭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부사장 등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한전KDN, 전남에너지산업협회, 광주은행 등 주요 기관과 기업도 함께하며 산·학·연·관 협력의 장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학술세션뿐만 아니라 AI for Energy 세션, 다낭시-에너지산업협회 업무협약 체결, 과학 커뮤니케이션 채널 '과학을 보다'의 시민특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시민과 함께하는 소통형 행사로 꾸려졌다.
오는 18일에는 Business & Investment 세션과 Energy for AI 세션이 이어져, 에너지와 AI 융합 시대의 실행 가능한 비전과 투자 전략을 집중 논의하며 포럼의 대미를 장식할 예정이다.
나주시는 이번 국제 포럼을 통해 지역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에너지 수도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탄소중립과 AI 기반 에너지 혁신의 길을 선도한다는 구상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