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조현신 진주도의원 "한국국제대 부지 활용해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조현신 진주도의원 "한국국제대 부지 활용해야"

"지역대학 폐교 전망 따른 부지 활용 좋은 사례가 될 것"

경남도가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를 공식화한 가운데 경상남도의회 조현신 의원(국민의힘 진주3)이 진흥원 설립 최적지로 한국국제대 폐교 부지를 제안했다.

공공기관 신설 시 기존 건물 활용을 선호하는 기재부·국토부 설득이 용이하고 우주항공청은 물론 관련 산·학·연 기관과 인접해 있으며 폐교에 설립된 우주항공산업기관의 성공적인 선례가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조현신 경남도의원은 18일 제426회 5분 발언에서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전략인 '5극 3특' 성장엔진 가운데 경남이 '우주항공' 거점으로 선정된 만큼 현재 '반쪽짜리' 우주항공청을 본래 목표대로 우뚝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상남도의회 조현신 의원(국민의힘 진주3). ⓒ경남도의회

이어"'반쪽짜리라고 한 것은 우주항공정책의 중앙행정 기능을 하는 우주항공청 본청만으로는 산업 전반을 부흥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며 "정책 추진기관 산하 산업 진흥기관을 두고 있는 타 사업부서 사례가 이를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진흥원 설립 필요성을 설파한 조 의원은 진흥원 부지로 2년 전 문을 닫은 한국국제대 터를 제안했다.

조 의원은 "공공기관을 신설하려면 기재부·국토부를 설득해야 하는데 양 부서가 신축은 지양하고 기존 건물·부지를 활용하는 기조이기 때문에 9만여평 부지와 24개동 건물을 보유한 국제대 터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며 "국제대 터는 현재 15차례 유찰 끝에 250억 원 이하로 매입 가능해 비용 측면에서도 신축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국제대는 위성특화지구인 진주항공국가산업단지와 16분, 국방기술품질원·산업기술시험원 13분, 경상국립대 14분,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와 30분 거리 등 주요기관과 인접해 있고 산등성이에 위치해 기밀 유지와 민원 방지에도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음달 개관 예정인 한화우주센터는 제주가 옛 탐라대(제주국제대) 폐교부지를 매입해 우주센터와 천문대· 관련 기업체를 집적시켜 '캠퍼스산업단지'로 재탄생시킨 사례여서 성공적인 전례가 있다는 것이 조 의원의 설명이다.

조현신 경남도의원은 "경남의 첫 폐교 대학인 국제대 부지를 활용한다면 지역의 가장 큰 난제 중 하나를 해결하면서 향후 지역대학의 연쇄 폐교 전망에 따른 부지 활용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며 "이 부지에 진흥원이 설립되면 폐교 부지 리모델링을 통한 국가 재정 부담 절감·지역 현안 해결·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1석 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동수

경남취재본부 김동수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