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이 직원들의 휴대전화 통화 연결음(컬러링)을 활용해 '광주교육 브랜드송' 등을 홍보하는 사업을 두고 예산낭비와 선거용 홍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민단체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9일 성명을 내고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직원 휴대전화 통화 연결음 사업을 시행하는 곳은 광주가 유일하다"며 "성과 검토 없이 2년째 지속되고 있어 예산 낭비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업비가 타 부서 예산에서 전용되는 등 예산 출처가 불투명한 점 △교육감 선거를 1년도 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선거용 홍보로 비칠 수 있는 점 △자발적 참여 원칙에도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 인사 불이익에 대한 불안감이 제기되는 점 등을 문제로 꼽았다.
단체에 따르면 해당 사업에는 2024년 414여만 원(137명), 2025년 8월 말 기준 320여만 원(119명) 등 총 730여만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시민단체는 "보여주기식 슬로건 홍보가 아닌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 추진으로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해당 사업의 즉각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은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시교육청은 "해당 서비스는 브랜드송과 청렴 메시지 등을 공유하기 위한 공익적 홍보수단으로 타 홍보매체에 비해 매우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밝혔다.
예산 투명성 의혹에 대해서는 "예산 전용이 아닌 '재배정' 절차를 거친 것으로 지방재정법에 따른 적법한 예산 활용"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특정인 홍보가 아닌 광주교육의 가치 확산에 목적이 있으며 모든 홍보물은 선관위 검토를 받는 등 공직선거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적으로 자율적 신청에 기반하며 전체 직원 중 신청률은 8~10% 수준"이라며 "신청하지 않은 직원에 대한 불이익은 전혀 없으며 개인의 선택권을 철저히 보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