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서 해마다 8000명 이상 빠져나가는 청년 인구를 붙잡기 위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정착 지원책을 강화한다.
전북도는 청년 활력수당과 임대보증금 지원을 비롯해 일자리·주거·교육·복지·참여 전 분야에 걸친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내놓고, 청년이 머무를 수 있는 기반 마련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전북 청년 인구는 매년 △8606명(2021년) △9069명(2022년) △7741명(2023년) △8478명(2024년)씩 줄었다.
청년층 유출과 저출생, 고령화가 맞물리면서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를 제외한 13곳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고, 익산 등 6곳은 소멸위험 진입 단계, 진안을 포함한 7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에 놓여 있다.
전북도는 위기의식 속에 청년 정착을 돕기 위해 다섯 분야의 정책을 강화한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직무인턴과 기업 연계 매칭, 면접수당을 지원하고, 창업과 스마트팜 영농 지원으로 청년창업을 돕는다. 주거 분야는 임대보증금·전세자금 이자 지원과 월세 특별지원이 포함되며, 지역 활동 청년에게는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활력수당을 지급한다.
청년정책협의체와 시군 청년센터를 통한 참여 구조도 강화된다. 정책 수립 과정에 청년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도정에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8월 국회사무처 산하 사단법인 ‘청년과 미래’가 주관한 제8회 청년친화헌정대상에서 광역자치단체 정책부문 우수자치단체로 선정됐다. 도-시군-청년이 함께하는 거버넌스 체계와 정주 여건 개선 노력이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이 청년에게 기회의 땅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아끼지 않고 추진하겠다”며 “청년 눈높이에 맞춘 실효성 있는 지원을 확대해 전북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