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그룹이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산업 구조 대전환 속에서 지속성장 전략 찾기에 나섰다.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22일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개막한 ‘2025 포스코포럼’에서 “기존의 성공 방식에 안주하지 말고, 기술을 미래를 여는 열쇠로 삼아야 한다”며 경영진들에게 위기 인식과 혁신을 주문했다.
올해 7회째를 맞은 포스코포럼은 그룹 임원 전원이 참석해 대내외 경영 환경을 점검하고 미래 성장 전략을 논의하는 연례 행사다.
올해 주제는 ‘대전환 시대, 무엇이 미래를 만드는가’로, 新모빌리티·AI 전환·에너지 등 3대 메가트렌드와 연계한 그룹 전략을 집중 논의한다.
기조강연을 맡은 앤드류 맥아피 MIT 경영대학원 교수는 AI, 로봇, 양자 기술 확산에 따른 산업 지형 변화를 짚으며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소프트웨어·항공으로 확장되는 모빌리티 혁신 △제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AI·로봇 △화석연료에서 전동화 중심으로 이동하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을 다뤘다.
장 회장은 특히 안전 문제를 강조했다. 그는 “안전진단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근본적 위험 제거를 통해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내 제조·건설 현장에서 K-Safety 모범사례를 확산하는 데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 회장은 취임 이후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을 경영 비전으로 내세우고 철강 사업 재건,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확보 등 7대 미래 혁신 과제를 추진 중이다. 특히 그룹기술전략회의, 테크포럼 등을 통해 기술과 사업 전략을 긴밀히 연계하며 신사업 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기술 중심의 초격차 비즈니스 선도’라는 기조를 더욱 공고히 하며, 글로벌 대전환기에 대응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