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대응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치안드론이 제주에서 첫 선을 보인다. 이 드론은 순찰과 실종자 조기 발견, 절도범 추적, 인파 혼잡사고 예방까지 가능한 ‘차세대 치안 플랫폼’이다.

제주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2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레이더시스템과 인공지능 성능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올해 말까지 총 10억 원(국비 8억, 도비 2억 원)을 투입해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치안드론을 완성할 계획이다.
세 기관은 실질적인 성능 향상과 사업 성과 제고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구축과 제공, 인공지능 성능평가, 기술 지원 등 인프라 환경 협력을 추진한다. 협약기간은 5개월이댜.
스마트 치안 드론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범죄발생 현장을 사전 탐지하거나 사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종자 조기 발견, 영상 인식 기반의 절도범 등 용의자 발견, 인파 혼잡사고 등 긴급상황 자동 통보 기능을 갖췄다.
특히 경찰 인력에 의존했던 실종자 수색, 인파 밀집 행사 관리, 주취자 및 요구조자 보호, 농산물 절도 적발 등을 실시간 영상 분석으로 지원하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박영부 제주자치경찰위원장은 “인공지능 스마트 치안드론 개발 사업은 인공지능과 드론 기술을 치안 분야에 접목해 기존 치안 방식을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치경찰단과 협력해 치안드론이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인공지능 경찰관’이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