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해온 맞춤형 악취 저감사업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축사와 퇴·액비 시설을 중심으로 개선 사업을 벌인 결과, 악취 농도는 67% 줄었고 관련 민원도 40% 감소했다.
전북도는 최근 3년간 339개소에 85억 원을 투입해 악취 저감시설을 확충하고, 미생물제 공급 등 사후 관리까지 병행했다. 올해도 16억 4800만 원을 들여 민원 다발 지역에 미생물제 보급, 탈취탑, 자동채취장치 설치 등을 추진 중이며, 연말까지 사업이 마무리되면 주민 체감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지난 5월 완주 비봉면 퇴비화시설 등 5곳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해 기준을 강화했다. 일부 사업장의 반발이 있었지만, 환경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5억 원을 확보하며 규제와 지원을 병행하고 있다.

혁신도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 꾸려 축사 매입, 시설 관리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2차 회의에서는 김제 용지면의 악취관리지역 지정 여부가 다뤄질 예정이다.
송금현 전북도 환경산림국장은 “악취 저감사업은 주민 불편을 직접 줄이는 생활밀착형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