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중국, 유엔서 배출량 감축 목표치 첫 제시…'온난화 부정' 트럼프 대비 행보로 존재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중국, 유엔서 배출량 감축 목표치 첫 제시…'온난화 부정' 트럼프 대비 행보로 존재감

시진핑 "중, 2035년까지 7~10% 감축"…감축목표 부족해도 '트럼프 덕에' "중국 인정받는 환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4일(현지시간) 유엔(UN) 기후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첫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제시해 전날 기후변화를 "사기극"으로 일축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조를 이뤘다. 제시된 목표치 자체는 기대에 못 미치지만 미국이 기후 의제에서 이탈한 상황에서 최대 배출국인 중국의 방향 제시가 안도감을 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로이터> 통신 등을 보면 시 주석은 이날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기후 정상회의에서 화상연설을 통해 중국이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점 대비 7~10%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10년간 총 에너지 소비 중 비화석연료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리고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용량을 2020년에 비해 6배 수준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세계 최대 배출국인 중국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2030년까지 배출량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연설에서 "녹색 및 저탄소 에너지 발전 전환은 우리 시대의 추세"라며 "일부 국가들이 이 추세에 역행하고 있지만 국제사회는 올바른 방향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날 기후변화를 "사기극"이라고 주장하며 지구온난화를 전면 부정한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기후변화가 "세계에 가해진 가장 큰 사기극"이라며 "이 녹색 사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여러분의 나라는 실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4일 강대국부터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까지 전세계 대부분 국가들이 참여한 기후 정상회의에 미국이 참석조차 하지 않으며 기후변화 문제에서 미국의 외교적 고립이 강조됐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제시한 감축 목표치가 불충분하다고 평가 중이다. <로이터>는 전문가들이 2060년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최소 30% 감축 목표치를 기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영국 일간 <가디언>은 세부 계획보다 중국이 방향을 명확히 내세운 것이 세계에 안도감을 줄 수 있다고 짚었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버니스 리 연구원은 "중국은 지난해 청정 에너지에 6250억달러(약 876조원)를 투자했고 이는 전세계 총 투자액의 31%에 해당한다"며 다른 나라들이 중국의 노력을 인지하고 안도할 것으로 봤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핀란드에 기반을 둔 청 에너지·청정공기연구소(CREA) 공동 창립자 라우리 밀리비르타가 중국이 충분한 목표치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해도 "미국의 무단이탈"이 기준을 낮춰 중국이 인정 받기 쉬운 환경을 조성했다고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도 유엔의 "대체 불가능한" 역할을 강조하며 전날 유엔의 존재 의의에 의문을 던진 트럼프 대통령과 대비되는 행보를 보였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24일 리 총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지난 80년간 유엔은 평화·안보 유지, 경제·사회 발전 촉진, 인권 보장을 위한 대체 불가능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며 "중국은 유엔의 지위와 권위를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현재 몇몇 일방주의·보호주의적 행동이 세계 경제를 약화하고 유엔의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심각하게 저해 중"이라며 미국을 에둘러 비판했다. 이어 "국제사회, 특히 글로벌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가 더 강하고 정의로운 목소리로 괴롭힘과 패권에 함께 대항해 각국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수호할 것"을 촉구했다.

반면 유엔총회 연설에서 "유엔의 목적이 뭐냐"며 비난한 트럼프 대통령은 24일에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전날 유엔본부의 에스컬레이터가 갑자기 멈춘 것, 연설 때 텔레프롬프터(자막기)가 고장난 것, 음향이 끊긴 것을 두고 근거 없이 "유엔의 사보타주(파괴 공작)"라고 주장했다. 유엔 쪽은 조사 결과 에스컬레이터 멈춤은 백악관 촬영 기사가 실수로 작동했을 가능성을 제시했고 <AP> 통신은 유엔 관계자가 텔레프롬프터의 경우도 백악관이 작동시켰다고 설명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UN)본부에서 열린 유엔 기후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상연설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효진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