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이 '이정선교육감 인수위 출신' 시설과장의 2년 초과 장기보직 논란에 대해 "대체 인력이 없다"고 해명했지만 '거짓 해명'으로 드러났다.
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지난 25일 "현 광주교육청 시설과장이 관련 규정을 어기고 2년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보은성 인사'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즉각 반박자료를 통해 "현재 기술서기관 정원이 1명뿐이라 순환 전보가 어렵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교육계의 A씨는 26일 <프레시안>과 인터뷰에서 "교육청의 기술서기관은 현 시설과장을 포함해 총 2명"이라며 "다른 서기관이 엄연히 존재하는데도 없는 사람 취급하며 '1명뿐'이라고 하는 것은 현 시설과장을 유임시키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해당 서기관은 현 시설과장과 같은 날(2023년 9월 1일) 조선대로 파견 보내 2년 넘게 근무 중이다. 인사 규정에 따라 순환 전보 대상자가 명백히 존재함에도 교육청이 의도적으로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육감의 인수위 출신인 현 시설과장(당시 5급)은 행정직만 가는 시설기획팀장 직을 맡았다가, 2023년 9월 1일 자로 승진하며 시설과장에 임명됐다. 시교육청은 그가 2년 임기를 채웠지만 "대체 인력이 없다"는 이유를 대며 유임시킨 상태다.
이에 대해 A씨는 "단 하루라도 규정에 맞는 인사를 하는 것이 정상적"이라며 "기술직 대상자가 있는데 비상식적인 인사를 한다는 것 자체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기술서기관이 1명'이라는 해명이 거짓으로 드러나자 교육청 관계자는"해당 서기관은 정년이 얼마 남지 않아 내년 1월 퇴직 연수에 들어갈 예정이라 인사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을 바꿨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광주교육청의 4급 인원은 불과 14명~18명 밖에 안된다"면서 "시설과장 인사를 하게 되면 4급 인원을 보내야 하는데 복수직렬인 학생교육원, 창의융합교육원 직에 이미 행정직이 배치가 돼 발령이 어려운 상태"라고 밝혔다.
또한 "2023년 3월 1일 조직개편을 통해 시설지원단이 해체되면서 기술서기관 정원 2명이 1명으로 줄었다"면서 "현 시설과장을 9월 1일자로 이동하게 되면 원포인트 인사가 되다 보니 운신의 폭이 좁았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