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행정통합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희태 완주군수가 법적 최종 결정권자인 행정안전부 장관의 결단을 촉구했다.
유 군수는 29일 기자회견에서 “군민 다수가 반대한다면 통합 논의는 중단돼야 한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혼란을 끝내기 위해서라도 행안부 장관이 조속히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5일 서울에서 열린 전주·완주 행정통합 6자 간담회 참석 이후 내놓은 공식 입장이다. 그는 “아직 확정된 절차는 없지만, 어떤 방식이든 군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하고 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논의와 별개로 완주의 미래 전략은 흔들림 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2013년 통합 무산 이후 상생협력사업이 줄줄이 중단돼 군민들이 큰 상실감을 겪었다”며 “이번에는 같은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현재 완주군은 전북도, 전주시와 28개의 상생협약을 맺고 있으며, 상관저수지 둘레길 힐링공원은 착공에 들어갔고, 고산 파크골프장은 내달 준공을 앞두고 있다. 또 만경강 물고기 철길 조성사업은 10월 1일 착공식을 갖는다.
아울러 유 군수는 완주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피지컬AI 산업이 상생협력사업에 포함돼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그는 “피지컬AI는 혁신도시 인프라와 완주의 산업 기반을 토대로 시범사업에 선정됐고, 본사업 예타 면제까지 성과를 냈다”며 “14차 상생협력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북도, 전주시, 국회의원실과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통합 여부와 관계없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실질적 성장을 위해 상생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번 발언은 통합 논의의 공을 행안부로 떠넘기는 동시에, 군민 여론을 방패 삼아 정치적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행보로도 읽힌다.
갈등의 불씨가 여전히 살아 있는 상황에서 행안부의 결단만으로 문제를 봉합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유 군수가 내세운 상생협력과 미래 전략이 단순한 ‘면피용 카드’가 아니라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