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 수가 2년 연속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기반의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지난 정부의 소극적 대응이 남긴 과제를 현 정부가 책임 있게 극복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성무 의원(더불어민주당·창원시 성산구)은 25일 "제조업체 수 감소세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어졌다"며 "정부는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국가 차원의 종합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허 의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제조업체 수는 3만2852곳(6.1%)이 줄었다"면서 "이는 2023년 4만8952곳(8.3%)이 감소에 이어 2년 연속 큰 폭의 감소세로 최근 10년간 처음 발생한 이례적 현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해 동안만 8만여 곳 제조업체가 사라진 셈이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허 의원은 "주형·금형 제조업·절삭 가공·유사처리업·배전반·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 등 이른바 뿌리산업의 감소가 두드러졌다"며 "이들 업종은 지역 일자리와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다"고 밝혔다.
즉 뿌리산업이 무너지면 대한민국 제조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
허 의원은 "정부는 구조적 원인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산업·인력·세대교체 지원을 아우르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일본이 2008년부터 종합적 제도를 통해 중소 제조업의 세대 단절 문제를 극복한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허 의원은 "세계 제조업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의 경쟁력이 정체되거나 후퇴하고 있다"며 "혁신 전략과 투자 확대를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허성무 의원은 "제조업은 국내 생산의 30%를 차지하는 근간 산업이자 국민 일자리를 떠받치는 기둥이다"고 하면서 "정부는 제조업 급감의 원인을 정밀하게 조사하고 산업·인력·세대교체를 포괄하는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민국 제조업이 다시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가 로드맵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