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산불 피해복구현황 및 혁신적 재창조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브리핑에서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 25일 국회를 통과한 ‘경북 산불 특별법’ 제정에 따른 종합브리핑을 열고 산불 피해구제와 복구 추진상황, 특별법 주요 내용, 그리고 향후 후속조치 계획을 설명했다.
도는 적극적인 건의를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인 약 1조 8천310억 원의 복구지원비를 확보했으며, 추석을 앞둔 현재까지 4천213억 원의 생계비와 주거지원비를 지급했다. 또한 2천430세대에 2천525동의 임시주택을 제공해 피해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지원했다. 국민 성금 약 744억 원도 유가족 위로금, 임시주택 건립, 구호활동 등에 활용됐다.
추석을 맞아 피해 주민을 위한 특별지원도 진행 중이다. 도는 ‘사랑의 온기나눔 릴레이’를 통해 자원봉사단을 운영하고 명절 선물을 지급했으며, 임시조립주택에 대한 안전점검을 마쳤다. 피해 주민 대상 심리상담과 치유 프로그램, 의료지원도 이어가고 있다.
피해 복구는 지난 5월 출범한 산불피해재창조본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재창조본부는 마을주택재창조사업단, 농업과수개선사업단, 산림재난혁신사업단 등 3개 사업단으로 나뉘어 마을·농업·산림 부문 복구를 전담한다. 현재 산사태 위험지역 238개소에 대한 응급복구를 완료하고, 위험목 제거 등 안전조치도 병행 중이다.
특히 마을 전체가 불탄 24개 마을의 주택재창조사업은 연내 또는 내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영덕 노물리·석리, 청송 달기약수터 등은 국토부 특별재생사업과 민간투자를 통해 명품관광마을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특별법에는 경북도가 요구한 핵심 내용이 반영됐다. 국무총리 소속 피해지원·재건위원회 설치, 권한위임 및 규제완화, 산림투자선도지구와 산림경영특구 제도 등이 포함돼 신속한 피해복구와 민간투자 유치 기반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사라지는 마을을 살아나는 마을로, 바라보는 산을 돈이 되는 산으로”라는 비전 아래 총 38개 전략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안동시 산림휴양복합단지·K-WOOD 목재산업 클러스터 ▲의성군 산림경영특구 시범사업·스마트과원 ▲청송군 산림미래혁신센터·관광단지 ▲영양군 산채스마트팜 혁신단지·명품산촌 ▲영덕군 송이 생물자원 스마트밸리·리조트 조성 등이다.
또한 ‘1시군 1호텔 프로젝트’, 지역활성화투자펀드 등 민간투자 활성화 정책을 특별법과 연계해 추진할 방침이다. 산림투자선도지구에 부여된 규제완화와 특례를 활용해 기업 유치를 가속화하고 투자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이철우 지사는 “특별법 통과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만큼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하고, 피해 지역이 혁신적 재창조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