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 논의가 주민투표를 앞두고 갈등을 키우는 가운데, 전주·김제 통합론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기됐다.
전주김제시민연합은 29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와 김제가 손잡아 대한민국 제2경제권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합은 통합의 비전을 ‘해양을 품은 전주, 피지컬AI 첨단도시 김제’로 제시하며, 단순한 행정구역 결합이 아닌 글로벌 경쟁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결합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통합시 출범 시 △김제 통합시 청사 이전 △백산지구 고속철도역 신설 △중앙 공공기관 유치 △피지컬AI 산업단지 조성 △국제물류 중심도시 육성 △대중교통 단일화 △2036 하계올림픽 공동 유치 등 7대 상생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김제 통합론은 완주·전주 갈등 속에서 차선책 성격이 짙다. 전주가 행정과 문화의 중심지라면, 김제는 새만금과 항만, 넓은 부지를 바탕으로 산업단지 조성 여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실제 전북발전협회가 올해 진행한 온라인 조사에서는 전주시민 94%, 김제시민 87%가 통합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적 제약도 만만치 않다. 전주와 김제 사이에 완주 이서 혁신도시가 끼어 있어 행정구역 경계와 생활권 충돌 문제가 불가피하다. 완주 통합 논의와 마찬가지로, 김제와의 통합 역시 행정적·정치적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김제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새만금 개발과 자체 재정 사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굳이 전주와 행정을 합칠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도 제기된다.
조승현 전북대 사회과학대학 학장은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전주와 김제가 따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통합은 전북이 살 길이자 새로운 도약의 길”이라고 말했다. 김한주 전주 신세계병원 원장도 “전주·김제 통합은 전북이 준광역시급 특례시로 가는 발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민연합은 전주시의회와 김제시의회에 즉각적인 논의 착수를 요구하고, 전북도와 정부에도 국가정책 반영을 촉구했다. 다만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곧 전주·완주 통합 주민투표 권고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어서, 김제 통합론이 실제 대안으로 부상할지는 미지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