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전북의원(정읍 고창)은 1일 전북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지금 상황의 비수도권 연대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개최지 요건에 맞지 않아 쉽지 않다"며 "IOC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도시의) 조합을 빨리 만들어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준병 의원은 이날 전북자치도의회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는 2가지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1차적으로는 전북도가 구상하는 (도시간 연대) 대안을 대한체육회와 협의해서 국제행사 개최계획를 조기에 확정해야 한다"며 "이를 확정하려면 IOC 개최지 요건에 부합하는 대안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윤준병 의원은 "그 다음에 대안이 만들어지면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효과 등이 나올 것"이라며 "지방비 40% 부담요건과 관련해서도 내부적으로 빨리 정리를 해야 한다"고 '선(先) 해결 2대 과제'를 제시했다.
윤준병 의원은 "IOC가 요구한는 압축적인 경기장 배치와 숙박시설 등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 (도시연대의) 조합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며 "보완할 것을 빨리 보완하고 구상을 해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거듭 비수도권 도시연대의 새로운 대안을 강조했다.
윤 의원은 "(보완 작업이) 어떤 내용으로 갈지는 그렇지만 다만 현재 주어진 비수도권 연대, 소위 지방도시 간 연대와 관련한 내용은 IOC 개최지 요건에 일치하지 않는다"며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수반되지 않으면 국제행사계획서가 수용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빨리 보완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윤준병 의원은 또 항간에 논란이 된 'IOC 부적격 판정' 근거를 묻는 말에 "두 번에 걸쳐 확인했다.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할 때와 9월 25일 문체부 현황보고 청취에서도 그랬다"며 "전북의 지방도시 연대계획안이 안된다고 한 것이지 IOC가 하계올림픽 유치계획 자체를 리젝트(거부)했다고 이야기를 한 바는 없다"고 강조했다.
윤준병 의원이 시종 비수도권 연대의 한계를 언급하며 IOC 개최지 요건에 맞는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함에 따라 전북도의 대응방향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현재 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한 '종목별 경기장 배치계획(안)'에 따르면 51개 경기장의 경우 전북 32개에 서울 8개, 광주 3개, 경기와 대구 각 2개, 충북과 충남·전남 등 각 1개 등 8개 광역시에 분산돼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