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정읍·고창)이 1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기자간담회에서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도민 열망만 강조할 게 아니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개최지 요건과 기획재정부의 재정 부담 규정을 냉정히 따져야 한다”며 “현재의 지방도시 연대 방식으로는 충족이 불가능하다”고 직격했다.
윤 의원은 “하계올림픽 유치가 도민 열망인 것은 맞지만, 치밀한 대비 없이 추진한다면 실패는 불 보듯 뻔하다”며 “누군가는 문제 소지를 조기에 드러내고 보완하면서 제대로 된 틀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발언은 찬물이 아니라 경고”라고 강조했다.
그는 IOC의 핵심 요건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경기장·선수촌·프레스센터 등을 50분·40km 이내에 배치해야 하는데, 지방도시 연대 방식으로는 이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며 “새로운 조합을 마련하지 않으면 국제행사 개최계획서가 수용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어 “총사업비의 40% 이상을 광역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기재부 규정도 정리하지 않으면 유치 여부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의원은 지난달 28일 자신의 페이스북 글에서 “전북의 지방도시 연대 계획은 IOC 요건에 맞지 않아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밝히며 논란을 촉발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는 “IOC가 부적격 판정을 내린 사실은 없다”며 즉각 해명 자료를 배포했고, 김관영 전북지사도 “도민 열망에 찬물을 끼얹은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윤 의원은 “부적격은 전북 유치 전체가 아니라 지방도시 연대안에 국한된 표현이었다”며 “문체부가 오히려 애매하게 설명하며 혼란을 키웠다”고 재반박했다.
정치적 의도 논란에 대해서도 윤 의원은 선을 그었다. 그는 “정치인이니 의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질은 성공을 위한 대비”라며 “내부총질이 아니라 문제 공유와 보완이 진짜 단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함께 배석한 김성수 전북도의원도 “문체부는 국정과제 반영에 소극적이고, IOC 협의는 비공개로 일관하고 있다”며 “도의회 상임위 차원에서 점검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의 공개 비판으로 전북도의 대응 전략에도 비상이 걸렸다. 도가 내세운 ‘비수도권 연대 구상’이 흔들리면서, 문체부와의 협의·IOC 요건 충족·재정 부담 해소라는 삼중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도민 열망을 성과로 바꿀 수 있을지, 아니면 정치 공방의 불씨로 남을지는 전북도의 대응과 정치권의 합의 능력에 달려 있다.
전체댓글 0